ABOUT ME

-

Today
-
Yesterday
-
Total
-
  • 블랙아이스 대처법 및 예방법, 보험처리
    카테고리 없음 2024. 1. 4. 09:03

    오늘 아침 세종시 금빛노을교에서 아람찬교에 이르는 구간에서 차량 40여대가 연쇄추돌했습니다. 그런데 이게 한 번에 일어난 사고가 아니고, 두 차례에 걸쳐(!!!) 연이어 발생한 거라고 합니다.

    그러니까 

     

    1차 오전 5시 24분 30여대, 이어서

    2차 6시 27분 8중추돌사고...

     

    도대체 이 이른 새벽에 어떻게 그런 연쇄추돌이 일어났을까요? 원인은 바로 '블랙아이스'에 있다고 해요.  이른 출근시간에 모두의 안전을 위해 블랙아이스 대처법 및 보험처리 알아보겠습니다.

    오늘 아침 사고가 일어난 세종시 금빛노을교 위치

    1. 블랙아이스란?

      최근 일교차가 급격해서 블랙아이스사고가 부쩍 늘고 있어요. 블랙아이스는 말 그대로 '검은 얼음' 그러니까 눈으로는 보이지 않는데 도로 위의 습기가 얼어붙어버린 결빙 현상을 말합니다. 어제처럼 부슬부슬 눈이 오고 밤에 기온이 급격히 떨어진 날에는 오늘 아침의 사고와 같은 블랙아이스가 생기기 쉽겠지요?

     

      이렇게 생긴 도로의 얼음은 무척 얇고 투명해 도로의 색깔 그대로 블랙, 검은색을 띠게 됩니다. 특히 터널 출구나 그늘이 자주 생기는 커브길에 많이 생긴다고 해요!!

    도로 위의 암살자...블랙아이스

    2. 블랙 아이스는 얼마나 위험할까?

      블랙아이스가 생긴 도로는 아무래도 운전자가 미리 눈을 보고 조심한 상태가 아니라서 그런지 사고가 났을 때 치사율이 훨씬 높다고 해요. 무려 약 3.5배가 높아진다고!! 또한 새벽 4시부터 6시까지가 치사율이 8.8%로 가장 높다고 합니다. 그래서 블랙아이스의 별명은 '도로 위의 암살자'라고 하지요.

      이번 세종시 연쇄추돌사고에서는 다행히 아직까지 사망자는 나오지 않은 것으로 보이는데요, 과학적인 데이터의 경고에 귀를 기울일 만한 대목입니다. 

     

    3. 블랙아이스 대처법은?

      하나, 예방법은 하나. 천천히

      너무 뻔한 이야기인가요? 하지만 블랙아이스는 시각적으로 확인이 어렵기 때문에 블랙아이스가 생길 것으로 보이는 날씨나, 오늘 아침같은 사고 뉴스를 접했다면 아침에는 특히 서행하시는 게 좋겠습니다. 특히 커브길을! 조심하셔야 합니다.

     

      둘, 엔진브레이크 사용

      블랙아이스가 있는 구간이 혹시 확인된다면, 발로 브레이크를 밟지 말고 수동으로 엔진브레이크를 사용해 감속을 하는 게 좋다고 합니다. 대부분 오토차량이시겠죠? 변속기어를 D 옆으로 밀고 1단씩 내려주는 바로 그 기능(오르막길에서 쓰는 기능)을 사용하시면 됩니다. 풋 브레이크는 미끄러질 위험이 있습니다!

     

      셋, 방향 인지 후 핸들 움직이기

      차량이 한번 미끄러져본 경험이 있으신 분들은 아시겠지만, 한 번 미끄러지기 시작하면 당황하여 운전자 대부분 핸들을 반대로 돌리기 마련입니다. 이러면 차가 드라마나 영화처럼 뱅뱅 돌게 됩니다. 차량 앞 부분이 미끄러지고 있다면 핸들을 반대쪽으로 돌리고 뒷쪽 부분이 미끄러지고 있다면 그 방향 그대로 천천히 돌려야 차량 통제력을 잃지 않습니다.

     

      넷, 안전거리 확보

      앞차와 거리를 충분히 확보했다 생각해도 한번 미끄러지면 금방입니다. 평소보다 넉넉히 안전거리를 확보하시는 게 좋겠습니다.

     

    4. 블랙아이스 사고, 보험 처리는?!!

      아무래도 자연재해(?)에 가까운 사고라고 생각해 전부 보상되길 바라는 마음도 있으실 겁니다. 물론 단독사고라면 '자차보험' 가입자의 경우 보험금 청구가 가능하겠지만, '자차' 미가입자라면 전액 자비부담해야 합니다.

     

      또한 이번 세종시 다중추돌 사고처럼 내 차가 앞차를 들이받고 뒷 차가 내 차를 들이받은 상황이라면 앞차는 내가 보상하고, 뒷차가 내 차를 보상해주어야 합니다. 대물 보험은 그렇지만 여기에 대인 보험이 들어가면 이야기가 복잡해집니다.  예를 들어 A차량이 블랙 아이스로 급제동했고, 뒤의 B차량이 A차량을 추돌했다면 B차량 보험사에서 보상을 해주면 됩니다. 그러나 그 뒤의 C차량이 B차량을 들이받는 식으로 등 2중, 3중 충격이 발생해 처음 사고가 난 A차량 차주가 더 심하게 다쳤다면 책임 소재가 불명확해집니다. 과속 등 추가 운전 과실에 따라서도 보험 적용이 달라지겠지요?

     

      누가 뭐래도 안전운전이 최고겠지요?

    댓글

Designed by Tistory.